깃허브 시작하기 ::
1. 깃허브에 접속하고 [sign up]을 눌러서 로그인한 다음 깃허브에 원격 저장소 만들기로 넘어갑니다.
2. 유저 이름, 이메일,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verify account에 있는 문제를 풀고 [create an account] 클릭
4. 설문응답하기 스킵해도 된다.
5. 가입했던 메일 주소로 가면 인증메일이 도착해 있는데 verfiy email address 눌러서 인증해 줍니다.
6. 깃허브 계정생성
처음 작업 뭘 할지 물어보는데 일단은 Skip 하면 내 github 화면이 나타납니다.
깃허브 원격저장소(repository)만들기 ::
1. 깃허브 화면 오른쪽 위에 + 버튼 누르고 [New repository]를 선택합니다.
※ 저장소가 몇 개 만들어져 있다면 로그인했을 때 화면 왼쪽에 저장소 목록이 나타나고 목록에서 레파짓토리를 생성할 수 도 있습니다.
2. 저장소 이름과 항목 이름 입력 후 [create repository]
ⓐ Repository name :저장소이름 (영문과 숫자, 언더바(_), 붙임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공백은 자동으로 (-) 붙임표로 바꿈)
ⓑ Description : 간단 설명 (입력 안 하고 넘어가도 된다.)
ⓒ Public/Private :공개/비공개 (공개는 주소만 알고 있으면 누구나 볼 수 있다)
ⓓ Add a README file : 저장소에 대한 소개와 설명을 작성하는 Readme 파일을 자동으로 만들려면 체크합니다.
ⓔ Add.gitignore : .gitignore 파일에 어떤 언어를 지정할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를 선택하면 C에서 사용하는 컴파일된 라이브러리나 실행파일을 깃에서 무시하도록 자동으로 .gitignore파일을 만들어 줍니다.
ⓕ Add a license :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위한 저장소를 만들 경우 해당 오픈 소스의 라이센스를 선택합니다.
3. 레파지토리 repository 생성
저장소 레파지토리가 생성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code 버튼을 눌러서 나오는 HTTPS 주소만 알면 어디에서든 지역 저장소를 백업하거나 협업할 수 있습니다.
※ GitHub 저장소 접속 방법
접속방법은 HTTPS or SSH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웹브라우저를 접속할 때는
https://github.com/아이디/저장소명
'GitHub 깃허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깃허브 데스크탑 (0) | 2021.10.31 |
---|---|
[GitHub] 깃허브 repository 레포지토리 삭제 (0) | 2021.06.18 |
깃허브 웹페이지 호스팅 만들기 (2) | 2021.06.17 |
SourceTree :: Invalid username or password 에러 해결 (0) | 2021.04.29 |
Sourcetree 소스트리 시작해보자 :: 설치하기 (0) | 2021.04.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