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300x250
SMALL
1. 산술연산자
-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산자이며 덧셈, 뺄셈등의 처리를 하는데 사용하는 연산자이다.
- 피연산자의 개수에 따라서 단항연산자와 이항연산으로 구분되며 단항연산자는 :+1.-1 이런식으로 부호 결정연산자를 포함해서 논리에도 경우에 따라서 포함된다 이항연산자는 1+2같이 값이 2개인것을 말하며 변수로 A+B이런식으로 표현할 수 도 있다.
- 연산 결과를 저장하는 변수는 항상 왼쪽에 두어야 한다.
- 연산결과는 어딘가에 저장해야 한다. ex) A = B+1 (O) / 3 = B + 1 (X)
- 2%3 나머지의 몫을 구할때 피연산자가 작을경우는 항상 값은 앞쪽 숫자라고 보면 된다.
2. 산술 연산시 주의사항
- 정수와 정수의 연산 결과는 정수이다.
- 정수와 실수의 연산 결과는 실수이다. 3+3.14이런경우 저장되는 변수에는 6.14값을 가지는 실수형태로 저장된다.
- 프로그래머가 지정하지 않아도 정수 + 실수는 반드시 실수로 저장된다. 따라서 변수는 실수타입에 저장해야 한다.
- 연산 결과가 피연산자의 크기보다 클 경우 오버플로를 주의 해야 한다. 예를들어서 정수의 데이터 타입은 byte : -128 ~ 127까지이다. 이 수치를 넘어서는 경우는 byte에 저장할 수 없다. 만약 A=127+1인경우 에는 정수의 데이터 타입 범위를 넘어서기 때문에 제대로된 결과를 나타낼수 없기 때문에 주의를 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범위를 충분히 고려해서 변수타입을 지정해야 한다.
산술연산 사용예시
public class Exam1{
/**
* @param arg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int iNum1 = 10, iNum2 = 20, iResult;
double dNum1 = 3.14, dResult; // 더블형으로 선언
iResult = iNum1 + iNum2;
System.out.println(iResult); // 저장된 결과값 한줄씩 출력
iResult = iNum1 + 30;
System.out.println(iResult);
//iResult = iNum1 + dNum1; // 정수형과 더블형변수의 더하기임으로 더블형으로 저장할 수 있는 변수에 저장해야 하는데 iResult는 정수형변수이므로 에러가 나게된다
System.out.println(iResult);
dResult = iNum1 + dNum1; //얘는 더블형에 저장해서 문제 없이 저장될것이다.
System.out.println(dResult);
}
}
728x90
반응형
LIST
'프로그래밍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건분기문 if else, switch case (0) | 2021.10.21 |
---|---|
이진연산 증감연산자와 대입연산자 (0) | 2021.10.02 |
식별자 규칙 (0) | 2021.09.30 |
[JAVA]else if문 이해하기 (0) | 2021.09.29 |
[JAVA]자료형 종류와 크기 (0) | 2021.09.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