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300x250 SMALL 프로그래밍82 [JAVA]자료형 종류와 크기 자바의 자료형은 기본형과 참조형으로 구분되어있다. 1. 기본형 데이터 - 자바에서 기본형은 논리형, 문자, 정수형, 실수형으로 구성되어있고 각각은 정해진 크기를 가지고 있다. - 정해진 값 자체를 의미한다. 데이터형 명칭 데이터 크기 논리형 boolean true, false 문자형 char 2바이트 정수형 byte 1바이트 short 2바이트 Int 4바이트 long 8바이트 실수형 float 4바이트 double 8바이트 실수는 소수점이 붙는형태 1) 논리형 1바이트 길이의 bollean 참, 거짓을 표현하기위한 자료형으로 true와 false값이 있다. 2) 문자형 2바이트 길이의 char형이 있다. 2에 16승크기 ASCII코드가 아닌 UNICODE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문자는 ASCII코드를 .. 2021. 9. 28. 자바 프로그래밍 방법 1. 이클립스를 사용한 소스코딩 1) 이클립스를 최초 실행하면 워크스페이스 설정하는 화면이 나오는데(소스코드가 기본적으로 저장될 위치 소스코드뿐만 아니라 컴파일한 내용 개발한 모든 내용들이 위치할 곳) C:\workspace를 선택 (이게 기본값이기 때문에 변경가능) 모든 소스파일은 이곳에 저장된다. 2) public class에 있는 이름 부분과 Hello파일 이름이 같아야 한다. public class Hello { // 클래스명과 파일이름이 동일해야 한다. 이게 클래스 명이된다. {} 블럭기호로 범위를 가진다 } 3) 주석표시 /** // /* */~ 여러줄 주석 *@param args */ 4) main메서드에서 실행된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2021. 9. 27.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객체 객체란? 객체는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논리 구조를 가진 구성요소를 말한다. 테이블(table)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 인덱스(index) 테이블 검색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 뷰(view)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선별된 데이터를 논리적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테이블 처럼 사용 시퀀스(sequence) 일련번호 생성 시노님(synonym) 오라클 객체 별칭(다른이름)을 지정 프로시저(procedure) 프로그램 연산이나 기능 수행이 가능한것 연산이 가능한것도 프로시저 기능을 수행하는 것 이라고 한다.(반환 값 없음) 함수(function) 프로그래밍 연산 및 기능 수행이 가능함(반환 값 있음) 패키지(package) 관련 있는 프로시저와 함수를 보관함 트리거(trigger.. 2021. 9. 26. 비트 연산자 1. 비트 논리 연산자 - 정수형 데이터는 2진수 형태로 기억장소에 저장된다. - 비트 단위 연산자는 정수형 데이터에서만 사용한다. - 비트 단위 연산자는 2진수나 16진수 데이터를 사용하여 적용해야 한다. 연산자 ~ 비트반전 (1의 보수) ~A : A의 각 비트를 반전 & 비트 단위 AND A&B : A와 B각비트끼리 연산을 취함 논리는 &두개를 썼는데 비트는 한개만 씀 | 비트 단위 OR A|B : A와 B 각 비트끼리 OR 연산 ^ 비트 단위 XOR A^B : A와 B의 각 비트끼리 XOR연산//배타적 논리합 비트가 서로 다르면 1 같으면 0이됨 3을 8비트로 구성할 경우 A : 3 : 0000 0011 B : 2 : 0000 0010 ------------------------- A&B 0000 .. 2021. 9. 24. 이전 1 ··· 5 6 7 8 9 10 11 ··· 21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