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300x250
SMALL

Front-end312

클래스 컴포넌트에서 constructor 생성자 constructor(props)는 클래스 컴포넌트에서 초기 설정을 할 때 사용하는 생성자 함수이다.리액트의 클래스 컴포넌트에서는 Component클래스를 상속받기 때문에 constructor를 작성할 때 super(props)를 호출해서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를 초기화해주어야 한다. 생성자 함수가 없어도 되는 경우만약 컴포넌트가 state를 초기화하거나, props를 초기 설정할 필요가 없다면 constructor를 생략가능하다.생성자 없이 컴포넌트를 선언하면 리액트가 내부적으로 Componet의 기본 생성자를 자동으로 호출한다.그래서 constructon를 생략해도 컴포넌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예를들어 constructor 없이도 다음과 같이 state를 초기화할 수 있다.class Count.. 2024. 11. 20.
React Developer Tools 설치 React Developer Tools은 React 애플리케이션을 디버깅하고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브라우저 확장도구 이다.Chrom과 Firfox에서 사용할 수 있고, React 컴포넌트의 구조와 상태를 확인하거나, 상태 변화와 렌더링 성능등을 분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설치방법1. 검색창에 React Developer Tools를 검색 2. 해당하는 브라우저 링크 클릭 3. 웹스토어 확장 프로그램으로 넘어가는데 Add to Chrome를 눌러 추가 한다.  설치를 하면 개발자 도구 오른쪽 끝에 Components와 Profiler 탭이 나타나고 이를 통해 각 컴포넌트의 구조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2024. 11. 19.
클래스 컴포넌트 기본문법 클래스 컴포넌트를 정의할 때는 Componet를 상속 받아야 하며, render 메서드 내에 JSX를 반환하여 UI를 구성한다.class 클래스명 extends Component {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this.state = {}; // 상태를 초기화 } render() { return ( {/* JSX를 넣는다. */} ); }} 2024. 11. 17.
리액트에서 함수형과 클래스형 컴포넌트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하는 이유 리액트에서 함수형과 클래스형 컴포넌트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하는 이유는 각각의 방식이 개발의 필요와 발전에 따라 다른 장점과 사용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1. 초기 리액트 : 클래스형 컴포넌트의 등장리액트가 처음 등장했을 때, 컴포넌트의 상태 관리와 생명주기 메서드 등을 사용하려면 클래스형 컴포넌트를 사용해야 했다. 당시 함수형 컴포넌트는 단순히 UI를 반환하는 역할만 할 수 있었다.그래서 클래스형 컴포넌트가 리액트에서 기본으로 많이 사용되었고, 상태 관리와 복잡한 로직이 필요한 컴포넌트는 클래스로 작성되었다. class MyComponent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this.state = {.. 2024. 11. 16.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