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300x250 SMALL javaScript545 매개변수 값을 함수로 사용하기 예제 매개변수 함수사용 예제 const func = () => alert("Hello World!"); const excute = (hello) => hello(); excute(func); //excute 함수 호출 매개변수로 func함수를 넘김 실행결과 실행과정 1. excute함수를 호출하면서 func를 매겨변수로 넘긴다. 2. excute라는 함수가 실행되면서 매개변수 이름의 func함수를 호출 하도록 한다. 3. func 함수가 실행되면 Hello World! 라는 얼럿창이 뜬다. 2022. 4. 17. break return 차이점 break와 return은 함수를 멈추고 탈출한다는 점에서 비슷하다고 볼 수 도 있지만 두 가지는 명확한 차이점이 있다. 아래 예시를 보자 0~9까지 숫자 중 한자리 번호를 입력받아 3이 나오면 탈출 성공 실패할 경우 count와 탈출 실패 문구가 나오는 함수이다. return문 const island = () => { let count = 1; while(true) { let pass = parseInt(window.prompt("0~9 한자리 번호를 입력하세요")); if(pass==3) { console.log("탈출성공!"); return; //return문 사용 } console.log(`${count}회 탈출실패`); count++; } console.log(`총 ${count}번의 탈출시도를.. 2022. 4. 16. [javaScript] 리턴값 이란? return문 사용하기 리턴값은 함수 내부에서 함수 외부로 데이터를 전달할때 사용하는 값이다. function sum(num1, num2) { let total = num1 + num2; return total; } let data1 = sum(2, 5); //sum함수 호추 console.log(data1); // 7 위와 같이 sum 함수를 호출해서 나온 결과 값 total을 return값을 이용해 호출한 곳에 되돌려 준다. data1에는 2와 5를 더한 결과 값인 7이 저장되게 된다. 2022. 4. 15. arguments란? javaScript arguments란? 전달 인자라고도 하며 매개변수의 모든 정보가 담겨있는 객체이다. 매개변수가 함수 선언 시 작성되는 변수라면 argument는 함수가 호출될 때 전달되는 값이다.. 배열은 아니지만 배열처럼 사용하면 된다. 전달 인자의 개수와 매개변수의 개수가 달라도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만약 아래와 같은 코드를 입력하였을 경우 function User() { if(age < 20) { console.log(`${name}님은 미성년자 입니다.`); } else { console.log(`${name}님은 성인 입니다.`); } } User('Han', 17); 에러가 발생한다. 이유는 User 함수를 호출하면서 값을 넘겼지만 매개변수가 선언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age와 name 변수를 발견하면 .. 2022. 4. 14. 이전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 137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