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300x250 SMALL 분류 전체보기1116 리액트 null을 활용해서 아무것도 렌더링 되지 않도록 하기 JSX에서 조건부 삼항연산자를 활용해서 아무것도 렌더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조건이 거짓인 경우 null을 반환하해 렌더링을 생략하도록 만든다.function Example({ showMessage }) { return ( {showMessage ? Hello, World! : null} );} showMessage가 false이면 아무것도 렌더링되지 않는다. 2025. 1. 5. 조건에 따라 동적으로 css 클래스 적용하기 function Example({ isActive }) { return ( Click Me );} isActive가 true이면 class="active", false이면 class="inactive" 적용 2025. 1. 4. 리액트에서 인라인 조건이란? 인라인 조건(inline conditional)인라인은 라인 안 의미 그대로 해당 코드가 필요한곳 안에 직접 작성한 코드를 말한다.즉 조건문을 따로 분리하지 않고 JSX 내부에서 바로 작성하는 것이 인라인 조건의 본질이다. 아래는 자주 사용되는 인라인 조건 작성 방식과 사용법이다. 1. 삼항 연산자조건 ? 참일 때 렌더링 : 거짓일 때 렌더링 function Example({ isLoggedIn }) { return ( {isLoggedIn ? Welcome back! : Please log in.} );} 2. && 논리 연산자조건이 참일 때만 특정 요소를 렌더링조건 && 렌더링할 요소 function Example({ hasNotifications }) { return .. 2025. 1. 3. 엘리먼트 변수로 조건부 렌더링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엘리먼트 변수란?React에서 엘리먼트 변수는 특정 JSX 엘리먼트를 변수에 저장한 다음, 이를 조건에 따라 렌더링하거나 재활용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개념이다.JSX 자체는 JavaScript 표현식으로 평가될 수 있으므로, 변수에 할당하거나 함수의 반환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엘리먼트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조건부 렌더링 간소화 : 복잡한 조건문을 JSX 내부에 작성하지 않고, 미리 조건에 맞는 엘리먼트 변수로 만들어 사용하면 코드가 더 깔끔해 진다.반복적인 렌더링 방지 : 조건에 따라 자주 사용되는 동일한 엘리먼트를 중복 작성하지 않고, 변수에 저장해 재활용할 수 있다.엘리먼트 변수 사용 예제function Greeting({ isLoggedIn }) { let message; if (isLogged.. 2025. 1. 2.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279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