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300x250 SMALL 분류 전체보기1117 파일 이름 순서로 일괄변경하기 파일들을 순서대로 001, 002 이런 식으로 이름을 세 글자 숫자로 변경하려고 한다.그 방법을 알아보자 1. 알툴즈 사이트에서 알씨를 다운 받는다. 2. 알씨 설치하고 실행이름을 변경해 줄 파일을 모두 선택한다 (ctrl + A) > 마우스 오른쪽 > 알씨 > 이미지 일괄편집하기 3. 다음 다음 해서 이름 변경이 나오면 이름 변경 아래 ### 이렇게 넣어준다.다른 숫자 형식으로 변경하려면 오른쪽 도움말을 참고한다. 4. 저장할 파일 포맷과 경로, 변환 후 원본 삭제 여부 등을 체크하고 시작 5. 이렇게 파일이름이 순서대로 일괄 변경된 걸 확인할 수 있다. 2024. 12. 17. DOM 이벤트와 리액트 이벤트의 차이 1. DOM 이벤트HTML과 순수 JavaScript를 사용한 DOM 이벤트 Click Me (DOM) DOM에서는 이벤트를 처리할 함수를 문자열로 전달 2. React 이벤트 예제React에서 SyntheticEvent를 사용하는 방식 Click Me (React) 리액트에서는 이벤트 이름을 카멜 표기법을 사용하며 함수 그대로 전달 3. 주요 차이점특징DOM 이벤트React 이벤트바인딩 방식addEventListener로 DOM요소에 직접 이벤트 추가JSX 문법에서 onClick, onChange등으로 이벤트 추가이벤트 이름소문자(onclick, onchange)카멜 케이스(onClick, onChange)이벤트 관리이벤트가 전역적으로 등록, 수동으로 제거해야 함React가 이벤트를 내부적으로 .. 2024. 12. 16. JSX문법과 일반 함수 return 차이 JSX문법에서의 return과 일반 함수에서의 return은 약간 차이가 있다. JSX 문법에서의 return : JSX는 React 컴포넌트가 화면에 렌더링할 내용을 반환한다. 이 때 괄호 안에 JSX 요소를 반환하는 것은 유효한 문법이다.일반 함수에서의 return : 일반 함수에서는 데이터를 반환할 때 반드시 명시적인 값(배열, 객체, 문자열 등)을 반환해야 하며, 괄호로 묶는다고 해서 여러 값을 자동으로 패키징 하지 않는다. 일반 JavaScript 함수 예시const useCounter = () => { const count = 0; const increaseCount = () => console.log("Increase"); const decreaseCount = () => c.. 2024. 12. 15. 리액트에서 화살표 함수가 자주 쓰이는 이유는? 리액트에서는 화살표 함수와 일반 함수를 모두 사용할 수있지만, 화살표 함수가 자주 사용되는 이유는React의 특성과 관련이 있다. 1. this의 컨텍스트 문제 해결화살표 함수는 상위 스코프의 this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클래스 컨포넌트에서 콜백 함수로 사용할 때 유용하다.예를 들어, 일반 함수는 this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추가 적인 .bind(this) 작업이 필요하다class MyComponent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 { super(); this.handleClick = this.handleClick.bind(this); // 꼭 필요함 } handleClick() { console.log(this); // 'this'가.. 2024. 12. 14.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80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