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300x250 SMALL react10 React에서 value 설정하고도 입력이 가능하게 만드는 방법 1. value 속성의 역할React에서 이나 에 value 속성을 설정하면 해당 입력 필드는 제어 컴포넌트가 된다.즉, value가 React 상태에 의해 고정되므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해도 그 값이 없데이트되지 않는다.입력 값을 바꾸려면 React 상태를 업데이트해야만 변경된다.function App() { return } 이 경우 입력 필드의 값은 "고정 값"으로 고정된다.사용자가 입력을 시도해도 값이 절대로 바뀌지 않는다.2. 자유롭게 입력 가능하게 만들려면?만약 입력값을 사용자에게 자유롭게 입력하도록 허용하면서도 value를 유지하고 싶다면 다음 방법이 있다. undefined 또는 null을 value로 설정function App() { return ;} 동작 원리value가 undefined.. 2025. 1. 30. React에서 체크박스를 포함한 다중 입력 폼 구현하기 예제 코드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function MultiInputForm() { // 초기 상태 설정 const [formData, setFormData] = useState({ username: "", email: "", agreeToTerms: false, // 체크박스 상태 }); // 입력 값 변경 핸들러 const handleChange = (e) => { const { name, value, type, checked } = e.target; // e.target에서 필요한 값 추출 setFormData({ ...formData, // 기존 값 복사 [name]: type === "checkb.. 2025. 1. 29. React useState로 다중 입력 폼 : onChange 핸들러 활용 리액트에서 하나의 컴포넌트 안에 여러 개의 입력 필드를 다루는 방법은 제어 컴포넌트(Control Components)와 상태(State)를 사용하는 것이다. 각각의 입력 필드 값을 독립적으로 관리하면서 하나의 onChange이벤트 핸들러를 통해 처리할 수 있다. 사용예제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function MultiInputForm() { // 상태를 객체 형태로 관리 const [formData, setFormData] = useState({ username: '', email: '', password: '' }); // 입력값 변경 시 호출되는 함수 (공통 핸들러) const handleChange = (e) => { .. 2025. 1. 28. 리액트에서 Arguments (매개변수) 전달하기 함수에서 전달할 데이터를 Arguments라고 하며 리액트에서 파라미터(parameter)와 매개변수(argument)는 함수 정의와 호출에서 동일한 개념을 다룬다. 리액트에서 Arguments 전달하기는 주로 컴포넌트 간 데이터 전달, 이벤트 핸들러에 인자 전달, 또는 함수 호출 시 인자를 넘길 때 사용된다. 리액트는 props를 통해 부모 컴포넌트에 자식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이벤트 핸들러에 인자를 전달하거나, 함수를 호출할 때 인자를 전달하는 방식도 자주 사용된다. 1. Props를 통한 컴포넌트 간 데이터 전달리액트에서 props는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본 방법이다. 부모 컴포넌트에서 데이터를 전달하고, 자식 컴포넌트에서 이를 받을 수.. 2024. 12. 26. 이전 1 2 3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