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300x250
SMALL

프로그래밍/java39

리터럴(literal) 이란? 리터럴이란? 리터럴은 직접값을 나타내는 단위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모든 숫자, 값, 논리 값을 말한다. 즉 변수나 필드에 지정할 수 있는 값을 의미한다. (예 : 1, 'A', 3.14, true) 리터럴에 해당되는 값은 특정 메모리 공간인 상수 풀(constant pool)에 있다. 필요한 경우 상수 풀에서 가져와서 사용한다. 상수 풀에 저장 할때 정수는 int로 실수는 double로 저장한다. 따라서 long값으로 저장해야 하는 경우는 l, L float은 F, f를 명시 해야 한다. 리터럴은 데이터 타입에 따라 표기법이 다르다 논리형 true, false 문자형 작은 따움표 '' 사이에 반드시 표현해야 한다. ex) 'A', '가' 특수문자 백슬래시 앞에 붙여서 사용한다. 예)'\n', '\r', .. 2021. 8. 26.
상수 뜻 상수란? 변하지 않는 값을 말한다. (변수:변하는 값) 상수 선언방법 상수는 변수랑 선언하는게 같은데 상수는 리터럴(값자체)로 사용하거나 앞에 final을 붙여서 정의할 수 있다. 상수는 값을 미리 선언해줘야 한다 final int age = 20; // 반드시 선언시에 미리 지정해야하고 한번 저장하면 변경이 안됨 final double phi = 3.14; final double PHI; PHI=3.14; // 위와 같이 딱한번 선언하고 값을 넣어 줄 수 도 있다. 그런데 이미 값이 선언된 상수에는 값을 넣어줄 수 없다. final double PHI = 3.14; PHI = 3 // 에러 남 상수를 선언하는 이유 프로그램 내에 특정 상수값을 자주 쓰는데 그냥 값이 들어가 있으면 이게 뭔지 헤깔릴 수 .. 2021. 8. 25.
[JAVA] 자료형 없이 변수 사용하기 자료형 없이 변수 사용하기는 JAVA10 이후부터 사용 가능하다. 변수를 선언할때 변수가 선언할 메모리 크기와 타입을 구분하기 위해서 자료형을 사용하는데 지역 변수 자료형 추론(local cariable type inference): 에 의해서 변수에 대입되는 값을 보고 컴파일러가 초론해서 자료맞는 자료형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var num = 10; var dnum = 10.0; var str = "hello"; int num = 10; double dnum = 10.0; String str = "hello"; 2021. 8. 24.
boolean 논리형 자료형 boolean (불린) 자료형은? 논리적인 데이터 유형으로 boolean으로 선언하며 true(참), false(거짓) 값만을 가질 수 있는 자료형입니다. public class BooleanEX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boolean isStudent = true; System.out.println(isStudent); } } 실행결과 true 만약 값이 없거나 0, -0, null, false, NaN, undefined, 빈문자열 ("") 이라면 객체의 초기값은 false가 됩니다. 그 외에 다른 초기값은 true로 설정됩니다. Boolean 객체의 true, false 값과 원시 Bo.. 2021. 8. 23.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