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300x250
SMALL

프로그래밍/java39

실수자료형 float, double 실수형이란? 소수을 갖는 수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 float, double 2가지 타입이 있다. float(4바이트), double(8바이트) 크기를 가지고 있다. 실수형은 부동 소수점 방식으로 실수를 지수부와 가수부로 표현한다. 무한의 실수를 표현하기 위한 방식이다. 예를들어서 2의 128승이면 2부분이 가수부이고 128부분이 제곱의 위치인 지수가 된다. 4바이트 이면 32비트로 맨첫번째는 부호비트 8비트는 지수부(지수) 가수부(실제 숫자를 나타내는 수) // 예를 들어서 32비트이면 맨앞에 1칸은 부호비트로 음수와 양수를 판단하고 지수부분을 8비트, 가수부분은 나머지 32비트가 된다. 정확성은 long형보다 float가 떨어지지만 훨씬 더 float이 지수부가 있기 때문에 큰수를 표현할 수 있다. .. 2021. 8. 21.
문자 세트, 인코딩 문자세트란? 문자를 위한 코드 값들을 정해놓은 세트를 말한다. 아스키(ASCII) 코드 : 1바이트로 영문자, 숫자, 특수문자등을 표현한다. 유니코드(Unicode) : 한글이나 한자 같은 복잡한 언어를 표현하기 위한 표준 인코딩을 말한다. UTF-8, UTF-16D이 대표적이며 자바는 유니코드-16을 사용한다. 유니코드 참고 https://www.unicode.org/charts/PDF/UAC00.pdf 2021. 8. 20.
JAVA:: 변수와 자료형 데이터 타입 변수란? 프로그래밍에서 변하는값(Data)을 저장할 메모리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자료를 담는 그릇이라고 볼 수 있다. 할당 받은 메모리의 주소 대신 부르는 이름이고 사용되기 이전에 미리 선언 되어야 하고 프로그램 실행 중에 값이 변경 가능하다 Variable라고 한다. 변수 선언과 초기화 int a; //a라는 변수 선언 int a = 0; // a라는 변수 선언과 동시에 0으로 초기화 - 변수 선언과 동시에 저장될 값을 지정할 수 있다. int age = 20; int num1 =0xff; boolean check = true; char ch ='A'; //문자 1개만 지정가능 double height = 10.5; 자료형 - 변수가 저장되는 공간의 특성 정수형 문자형 실수형 논리형 1바이트 byte .. 2021. 8. 19.
[JAVA] 음의 정수 표현 정수의 가장 왼쪽은 부호비트이고 MSB(Most Significant Bit)라고 한다. 가장 중요한 비트라는 뜻이다. 음수를 만드는 방법은 2의 보수를 취하는 것인데 맨 앞에가 0이면 음수 1이면 양수이다. 음수를 만드는 방법 0 0 0 0 0 1 0 1 1의 보수를 취한다. ( 반대의 수 ) 1 1 1 1 1 0 1 0 1을 더한다 1 1 1 1 1 0 1 1 보수로 만들고 +1 '-'를 만드는 방식 public class test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int num=10; int bNum=0b1010; int oNum=012; int hNum=0xA; byte n=0b000010.. 2021. 8. 18.
728x90
반응형
LIST